Surprise Me!

AI에 반격하다…할리우드서 시작된 전쟁의 결과는 [탐사보도 뉴스프리즘]

2023-08-26 4 Dailymotion

AI에 반격하다…할리우드서 시작된 전쟁의 결과는 [탐사보도 뉴스프리즘]<br /><br />[오프닝: 이광빈 기자]<br /><br />안녕하십니까. 이광빈입니다.<br /><br />우리 사회의 문제점들을 진단하고, 지속가능한 사회를 모색하는 뉴스프리즘 시작합니다.<br /><br />이번주 뉴스프리즘이 풀어갈 이슈, 함께 보시겠습니다.<br /><br />[영상구성]<br /><br />[이광빈 기자]<br /><br />생성형 인공지능, AI가 일자리를 위협하고 있다는 이야긴 이미 많이 들어보셨을 텐데요. 콘텐츠, 창작물 분야에선 이미 현실화되고 있습니다. AI는 기존 콘텐츠를 기반으로 새로운 창작물을 뚝딱 만들어내고 있습니다. 창작자들의 일감이 줄어들 수 있는 것이죠.<br /><br />당연히 생계에도 지장이 생길 수 있습니다. AI의 일자리 침공에 인간도 맞서기 시작했습니다. 인간과 AI의 첫 전선이 할리우드에서 형성됐습니다. 벌써, 100일을 훌쩍 넘겼는데요. 김지선 기자가 보도합니다.<br /><br />['할리우드 전선 이상 없다'…AI에 맞선 인간의 첫 전쟁 / 김지선 기자]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피켓을 들고 거리로 나온 할리우드 영화·드라마 작가들.<br /><br />미국작가조합이 펜을 내려놓은 지 100일을 넘긴 가운데, 배우조합도 넷플릭스 등 대형 제작사를 상대로 한 파업에 가세했습니다.<br /><br />이들이 동반 파업을 벌이는 것은 1960년 이후 63년 만으로, 경제적 손실이 5조원 이상이라는 분석도 나왔습니다.<br /><br />주요 쟁점 중 하나는 업계의 AI 활용에 따른 권리 침해 문젭니다.<br /><br />AI가 작성한 대본 초안에 수정만 하도록 지시받는 일이 잦아지면서 작가가 설 자리는 점점 좁아지는 추세.<br /><br />배우들은 자신의 얼굴이나 목소리를 AI에 입혀 공짜로 쓸까봐 우려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 "기업들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점 더 적은 비용으로 우리가 동일한 작업을 계속 수행하도록 하는 방법을 알아냈습니다. 그래서 이제 제2의 직업을 가져야 하고, 집세도 못 내고 건강보험도 가질 수 없는 처지가 됐습니다."<br /><br />이들은 OTT 업체에 제대로 된 수익 분배도 요구하고 나섰습니다.<br /><br />유선방송에서 스트리밍 시대로 넘어가면서 갈수록 열악해지는 처우와 맞물려 AI에 대한 방어심리는 한층 강하게 작동하는 모양샙니다.<br /><br />언론사, 뮤지션 등 다른 콘텐츠 분야 종사자들도 전열을 정비하면서 곳곳에서 그야말로 전투가 벌어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그러나, 이번 파업이 장기화되면서 관련 기업들은 오히려 AI 투자에 속도를 내는 분위깁니다.<br /><br />엔터테인먼트사의 96%가 생성형 AI 지출을 늘리고 있다는 설문조사 결과가 나올 정도.<br /><br />최근 연봉 12억원을 내걸고 머신러닝 연구원을 뽑겠다고 나선 넷플릭스의 구인공고는, 배우·작가들의 원성을 사기도 했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 김지선입니다.<br /><br />#인공지능 #AI #할리우드<br /><br />[이광빈 기자]<br /><br />누구나 AI 기술을 활용할 수 있는 시대입니다.<br /><br />하지만 이 똑똑한 AI의 학습 과정과 생성물도 저작권 사각지대일 수는 없을텐데요. 서형석 기자가 전문가와 AI 커버곡을 만들어 보고 의견을 물었습니다.<br /><br />[누구나 만드는 AI 커버곡…저작권 사각지대? / 서형석 기자]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요즘 인터넷 상에서는 AI로 만든 커버곡이 유행인데요. 오늘은 전문가를 모시고 직접 AI 커버곡을 만들어보도록 하겠습니다.<br /><br />준비물은 인터넷에 연결된 노트북 한 대. 그리고 생성AI 일종인 목소리 변환 프로그램입니다.<br /><br /> "(어떤 노래를 어떤 식으로 바꾸는 건가요?) 뉴진스의 디토라는 곡을 이제 10cm의 목소리로 부르면 어떻게 되는지 그걸"<br /><br />사용법은 간단합니다.<br /><br />"실행을 하게 되면 이런 UI 화면이 나오게 되는데요. 이 화면을 가지고 모델을 선택한 다음에 오디오 파일을 올려서 변환을 할 수가 있습니다."<br /><br /> "I don't want to Walk in this 미로 다 아는 건 아니어도 바라던 대로 말해줘 Say it back oh say it ditto I want you so, want you So say it ditto"<br /><br />딱 10분, 노래 파일을 간단히 마우스로 끌어다가 업로드하는 것만으로 커버곡이 완성된 겁니다.<br /><br />원하는 목소리를 학습시키는 것도 음성 파일만 있으면 되는데 정교한 작업을 위한 학습에는 하루 정도가 걸립니다.<br /><br />"그냥 공개된 모든 사람의 목소리 데이터만 있으면 누구나 모델을 만들고 그 모델로 변환까지도 할 수 있습니다. 전혀 전문가가 아니어도 코딩 하나도 몰라도 그냥 (버튼) 누르기만 하면 됩니다."<br /><br />AI에 누구나 쉽게 접근 할 수 있게 되면서 지금은 상상하지 못한 새로운 직업과 시장이 열릴 것이란 전망도 나오지만,<br /><br />위협을 느끼며 반격에 나선 것도 사실입니다.<br /><br />일부 해외 언론은 AI가 무단으로 학습용 데이터를 긁어가는 것에 대해 문제를 제기하고, 법적 책임을 묻는 것까지 검토 중입니다.<br /><br />AI 커버곡의 경우 저작권 문제와 수익 배분을 놓고 일부 양성화 방안이 논의되고 있지만 반대하는 가수들 목소리도 만만치 않습니다.<br /><br /> "지금 아무런 규정이 없는 상태이기 때문에 굉장히 어떤 사업을 하기는 굉장히 불안한 시기고요. 명확한 규정들이 생겨서 그 규정에 따라서 사업을 할 수 있게 된다면 좋을 것 같습니다."<br /><br />여기에 빠르게 발전하는 AI 기술과 사회 통념 사이에서 발생하는 윤리 문제 역시 더 논의가 필요한 부분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서형석입니다.<br /><br />#뉴진스 #권정열 #10cm<br /><br />[코너 : 이광빈 기자]<br /><br />AI가 실용성 있는 서비스가 되려면 일단 배우는 게 중요합니다. 거대언어모델(LLM)을 갖추는 게 중요하지만, 많은 학습 데이터가 들어가야 AI가 훈련될 수 있습니다. 정보만 많이 들어간다고 신뢰성 있는 AI 서비스가 만들어지지 않습니다. 뉴스와 학술 정보 등에서 양질의 데이터가 들어가야 합니다.<br /><br />그러나 AI가 인터넷 게시물 등 웹에서 학습할 수 있는 많은 콘텐츠를 섭렵하면서 어두운 내용까지 학습하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됩니다. 이로 인해 AI는 한마디로 '나쁜' 언어를 배우게 됩니다. 폭력적이거나 유해한 콘텐츠를 인간에게 제공하게 됩니다.<br /><br />AI가 학습해 내놓을 수 있는 유해 콘텐츠들은 인간이 걸러내고 있습니다. 외신 보도에...

Buy Now on CodeCanyon